Javascript Deep Dive/표현식과 문

표현식과 문

FE묭묭 2022. 9. 6.

표현식

표현식(expression)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statement)이다.
즉, 표현식이 평가되면 새로운 값을 생성하거나 기존 값을 참조한다.
(리터럴도 값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표현식이다)

문(statement)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자 최소 실행 단위이다.
문의 집합으로 이뤄진 것이 프로그램이며, 문을 작성하고 순서에 맞게 나열하는 것이 프로그래밍이다.

//문을 명령문이라고도 부른다.

// 변수 선언문
var x;

// 표현식 문(할당문)
x = 5;

// 함수 선언문
function foo () {}

// 조건문
if (x > 1) { console.log(x); }

// 반복문
for (var i = 0; i < 2; i++) { console.log(i); }

세미콜론(;)으로 문의 종료를 나타내며 생략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붙여주는 것이 좋다.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

표현식인 문과 표현식이 아닌 문을 구별하는 가장 간단하고 명료한 방법은 변수에 할당해 보는 것이다.

// 변수 선언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이다.
var x;

// 할당문은 그 자체가 표현식이지만 완전한 문이기도 하다. 즉, 할당문은 표현식인 문이다.
x = 100;

표현식인 문은 값으로 평가되므로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표현식이 아닌 문은 값으로 평가할 수 없으므로 변수에 할당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 표현식인 문은 값처럼 사용할 수 있다
var foo = x = 100;
console.log(foo); // 100

표현식인 문인 할당문은 할당한 값으로 평가된다. 즉, x = 100은 x 변수에 할당한 값 100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foo 변수에는 100이 할당된다.

 

 

완료값

  •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표현식이 아닌 문을 실행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출력한다. 이를 완료 값 이라 한다.
  • 완료 값은 표현식의 평가 결과가 아니다. 따라서 다른 값과 같이 변수에 할당할 수 없고 참조할 수도 없다. 
// 변수 선언문
var foo = 10; <<undefined

// 조건문
if (true) {} <<undefined

- 개발자 도구에서 표현식이 아닌 문을 실행하면 완료값 undefined를 출력한다.

 

  •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표현식인 문을 실행하면 언제나 평가된 값을 반환한다
var num = 10; <<undefined

// 표현식은 평가된 값을 반환한다.
// 표현식 문
100 + num; << 110

// 할당문
num = 100; << 100

 

 

 

var foo = 10; 은 선언문과 할당문이 같이 있는데 왜 표현식이 아닌 문인지 모르겠다.
일단 넘어가고, 나중에 표현식을 다시 배울 때 더 이해해보려고 노력하자.

'Javascript Deep Dive > 표현식과 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값 (value), 리터럴 (literal)  (0) 2022.09.06

댓글